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언어/초보자를 위한 파이썬

[초보자를 위한 파이썬] 5화 - 조건문

by woojin1354 2024. 9. 1.
728x90

조건문은 프로그래밍에서 일어나는 "선택의 게임"과도 같습니다. 마치 삶의 갈림길에서 우리가 매 순간 선택을 하듯이, 프로그래밍에서도 조건에 따라 다양한 선택을 합니다. 가령, "오늘 점심으로 무엇을 먹을까?", "이 길로 가면 어떤 모험이 펼쳐질까?"와 같은 결정들이 그렇습니다. 이제 조건문을 통해 어떻게 적절히 사용할 수 있을지 살펴보겠습니다.

논리 연산이란?

참(True)과 거짓(False)의 값들을 사용하여 조건이나 명제를 결합하거나, 특정 조건의 논리적 참/거짓 여부를 판별하는 연산을 의미합니다.

우선 간단히 논리 연산들의 종류와 연산 결괏값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파이썬에서 논리 연산자는 `and`, `or`, `not` 세 가지가 있습니다. 이들은 불리언(bool) 값을 반환하는데, 그 동작은 다음과 같습니다.

1. and 연산자
   - and 연산자는 두 조건이 모두 참(True)일 때만 참을 반환합니다.
   - 예: `True and False`는 `False`를 반환합니다.

2. or 연산자
   - `or` 연산자는 두 조건 중 하나라도 참이면 참을 반환합니다.
   - 예: `True or False`는 `True`를 반환합니다.

3. not 연산자
   - not 연산자는 단일 조건의 논리 값을 반대로 바꿉니다.
   - 예: `not True`는 `False`를 반환합니다.

파이썬에서 논리 연산자는 주로 조건문이나 반복문에서 조건을 결합하거나 반전할 때 사용됩니다.

1. if문

if문은 조건과 실행문 구조로 이루어집니다.

if 조건:
    실행부

조건이 참(True)이면 실행부가 실행되고, 거짓(False)이면 실행부가 실행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사과가 과일이면 상자에 담는다."를 if문으로 표현해 보겠습니다.

if 사과는 과일이다:
    상자에 담는다

이처럼 주어진 조건이 참인지 또는 거짓인지에 따라 실행 여부를 결정하고 싶다면, if문을 사용하면 됩니다.

입력된 수 N이 5보다 크면 "크다"라고 출력되는 예제입니다.

N = int(input())
if N > 5:
    print("크다")

 

2. match case

match case문은 주어진 값이 여러 경우(case) 중에서 일치하는 경우가 존재하는 지를 판별하는 데에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사과주스", "콜라", "사이다", "포도주스"라는 선택지가 존재하는 자판기에 "포도주스"라는 값이 자판기에 주어졌을 때, 그에 맞는 올바른 동작이 일어나게 할 수 있습니다.

match "사과주스":
    case "포도주스":
        print("포도주스입니다.")
    case "콜라":
        print("콜라입니다.")
    case "사이다":
        print("사이다입니다.")
    case "사과주스":
        print("사과주스입니다.")

 

3. 삼항 연산자

삼항 연산자(Ternary Operator)는 파이썬에서 if-else 조건문을 한 줄로 표현하여 코드를 간단하게 만들어주는 유용한 도구입니다. 삼항 연산자는 세 개의 피연산자를 사용하여 조건에 따라 값을 선택합니다.

기본적인 형태는 조건에 따라 값 A와 값 B 둘 중 하나가 되려면 아래 예시와 같은 형태가 되어야 합니다.

A if 조건 else B

결론적으로 조건에 따라 두 개의 값 중 하나가 결정되는 것이 삼항연산자입니다.

참일때값 if 조건 else 거짓일때값

두 개의 수 중 더 큰 수를 찾는데에 사용되는 예제입니다.

print(5 if 5 > 3 else 3)
728x90